Search

윌슨

서비스 설명

경험 기반 맞춤형 고민상담 플랫폼 윌슨
창업 기간 : 2019.01 ~ 2021. 11 서비스 가입 유저 : 2만명

사업 배경

주위 20~30대 지인들을 보며 누군가는 경험을 해봤을만한 고민들이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어려워하는 일상적 고민들을 '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고 편하게 풀어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서비스

사업 목적

지인과 전문가 도움 그 사이의 비어 있다고 판단한 니치 마켓을 공략 및 새로운 마켓 형성
니치마켓을 바탕으로 멘탈 & 라이프스타일 매스 마켓으로 확장 가능한 플랫폼 서비스 확장 목표
위로와 용기가 필요한 현대사회에 사회적 가치 창출

프로젝트

[프로젝트 : 가설 검증과 사용자 니즈 발굴]
[ 프로젝트 : 유저 패턴 및 멘탈 모델 구축]
[ 프로젝트 : Retention 유저 재정의 및 Aha-momnet 개선 작업]

프로덕트 성공 및 실패, 러닝 포인트

러닝포인트
1.
[시장] 니치 마켓, 수요를 끌어내기의 어려움 → 매스 마켓의 연결고리 필요성
2.
[고객] 고객이 ‘내가’ 아니다. → A,A의 무한 반복과 플랫폼 : 수요자 vs 공급자
3.
[프로덕트] 플랫폼의 닭과 달걀 : 수요자 vs 공급자 (Aha-moment)
4.
[기회비용] 리소스와 도전의 그 적절함을 찾는 것
5.
[조직] 프로덕트에 대한 무한한 애정과 회복탄력성
창업하고 하나의 프로덕트를 완성하고 고객에게 전달되기까지 0 → 1을 만드는 과정의 경험을 돌이켜보면 모든 부분이 정말 다 잘 맞아떨어져야 했다. 그리고 ‘실행, 판단, 반복’ 을 정말 빠르게, 그리고 가급적이면 적은 비용으로 해내야 한다는 건 그 사실을 알아도, 몰라도 어려운 부분인 것 같다. 그리고 윌슨 서비스가 실패한 본질적인 이유는 나에게 있었고 모든 걸 낙관적으로만 보는 시선, [YC – 스타트업을 망칠 수 있는 두가지 사고방식] ‘잘 될 거니까 잘 만들자 ‘라는 무비판적인 낙관적 사고 때문이었다. MVP는 개발 공수의 크기가 아니라 ‘최소 가치'를 검증하기 위한 단위 제품인데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다. 처음부터 낮은 성공 확률을 가진, 보수적인 시선과 비판적 사고 과정을 가졌다면 더욱 효율적인 시도를 했을 텐데 하고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험을 통해서 이런 포인트들을 배울 있었던 것은 끝까지 몰입했기 때문인 것 같다

사업 성과

2021-08 디캠프 데모데이 출전 및 입주
2020-11 윌슨 iOS App MMP 출시
2020-10 시드투자 유치
2020-06 윌슨Web MVP 누적 방문자 3만명
2020-03 청년창업사관학교 10기 입교
2019-11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스타트업빌리지 입주
2019-10 윌슨 Web MVP 테스트 진행
2019-08 하나 소셜벤처 아카데미 우수상 수상
2019-06 중소벤처기업부 예비창업패키지 선발
IR 자료
윌슨 IR.pdf
7669.1KB